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학30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 1. 이름의 뜻 1) 예수 - “여호와 하나님은 구원이시다”(마1:21) 2) 그리스도 - “기름 부음 받은자”(마1:16) 구약시대에는 기름부어 세우는 3대 직분이 있었는데 ①선지자 ②제사장 ③왕이었습니다. 예수님을 기름부은자”라고 부르는 이유는 위의 세가지 직분을 모두 지니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3) 주(主) : 일반적으로 권위자를 존칭하는 칭호로 사용하나 노예의 주인을 말할 때 쓰는 칭호입니다. 그러나 성경에 기록된 “주”(主)는 하나님을 표현하는 칭호입니다. 2. 예수님은 누구이신가? 1) 하늘에서 오신 분입니다(요3:13, 6:38, 42:62) 예수님은 천국에 계셨습니다. 영원 전부터 영(靈)으로 계시다가 성부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아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요3:17, 6.. 2018. 12. 26.
크리스천의 기본 30가지 기도의 자세 크리스천의 기본 30가지 기도의 자세 1. 기도 없는 경건은 양의 옷을 입은 이리와 같다. 2. 교만 중에 가장 무서운 교만은 기도하지 않는 교만이다. 3. 기도는 하나님 앞에서 가장 낮은 자세로 엎드리는 영적인 낮은 포복이다. 4. 기도자가 피해야 할 교만은 기도 많이 한다는 교만이다. 5. 기도는 하나님을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그분의 인격, 사상, 그리고 사역에 감화되어 하나님께 설득되는 것이다. 6. 기도를 통해 변하는 것은 하나님이 아니라, 기도자 자신이 하나님이 원하는 아들의 모습으로 변하는 것이다. 7. 기도자는 바른 기도를 통하여 자기 중심에서 벗어나 점점 더하나님 중심의 사람으로 바뀐다. 8. 기도는 자기의 욕심이 아니라, 나를 향한 하나님의 주권적인 뜻과 인생 청사진을 이루어 가는 것이.. 2018. 12. 13.
신학일반 :: 칼빈이 가르치는 경건 칼빈이 가르치는 경건 calvin ‘경건하다’는 말은 때로는 교회에서 재미없는 사람을 놀릴 때 사용합니다. 거룩이라는 단어도 마찬가지로 장난으로 많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말을 아무렇게나 하면 어떠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교회 안에서 이 용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잘 알 수 있도록 개념을 정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신실한 그리스도인을 표현하는 용어의 대표격인 경건은 우리가 아름다운 것으로 소망하면서 바라보아야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네, 우리는 경건한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경건이란 무엇일까요? 여기서는 칼빈이 말하는 경건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비록 수백년이 지났지만, 우리는 이 경건한 교회의 스승으로부터 배울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경건이란 무엇인가 칼빈은 경건에 대해서 이.. 2018. 10. 13.
[생각하는 그리스도인] 환생과 윤회는 사실일까 [생각하는 그리스도인] 환생과 윤회는 사실일까 ‘신과 함께-죄와 벌’ ‘신과 함께-인과 연’은 요즘 한국에서 가장 핫한 영화다. 영화는 내세에 대해 생각하게끔 모티브를 제공한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영화 저변에 깔린 철학 사상으로서 윤회와 환생은 기독교인으로서 비판적 성찰이 필요하다. 윤회란, 삶이 일회적이지 않으며 해탈 전까지는 생사를 수없이 반복한다는 힌두교와 불교의 교리다. 환생은 사람이 죽은 뒤 자신의 업에 따라 다시 사람이나 동물로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윤회와 환생은 과연 합리적인 생각일까. 몇 가지 논리적 문제점이 있다. 첫째, 최초의 시작이 없는데 어떻게 세상이 시작될 수 있을까. 윤회는 우주의 시작과 인생의 시작을 설명할 수 없다. 계속해서 도는 순환적 세계관이다. 하.. 2018. 9. 2.
크리스마스의 유래 크리스마스의 유래 "크리스마스"의 날짜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유력한 12월 25일 설은 고대 "로마"에서 지키던 동지날을 채택 한데서 비롯됐습니다. 당시 "로마"의 이교도들은 동지절(12월 24일 - 다음해 1월 6일)을 하나의 대축제적인 명절로 지키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고대 교회의 "로마" 주교는 기독교가 이교도들을 정복했다는 의미에서 이교의 축제일인 동지를 "그리스도의 탄생일"로 채택했습니다. "크리스마스"를 교회가 교리적으로 지키기 시작한 것은 4세기 후반 부터 입니다. 고대 "로마"교회에서 기원한 "크리스마스"를 지키기 시작한 연대에 대해서는 335년설과 354년설이 맞서 있습니다. "성탄일"은 그 후 동방 교회로 퍼져나가 "콘스탄티노롤리스"(379년),"카파도기아.. 2018. 6. 28.
존 번연 (1626-1688)의 천로역정(The Pilgrim's Progress) 존 번연 (1626-1688)의 천로역정(The Pilgrim's Progress) 존 번연: 17세기의 가장 위대한 청교도 작가중의 한 사람 존 번연은 17세기의 가장 위대한 청교도 작가가운에 한 사람이다. 이것은 당시 대다수의 청교도 작가들이 옥스퍼드와 캠브릿지 대학 출신이었음에 비해 번연은 가난한 땜쟁이의 맏아들로 태어나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기 때문에 놀라운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번연이 태어난 17세기 영국은 내란(1642-47)과 청교도가 주도한 공화국시기를 거쳐 다시 왕정복고(1660)와 청교도 추방령(1662)과 찰스 2세의 관용령(1972)등의 정치적, 종교적 소용돌이의 시대였다. 번연은 16-18살때인 1644-46년에 의회군에 입대하여 전쟁에 참여해서 죽을고비를 많이 넘기기도 했다. 번.. 2018. 6.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