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학30

[기독강좌] 말세의 징조를 말씀하신 예수 말세의 징조를 말씀하신 예수 (마 24:1-14) 예수님이 예루살렘 성전에 들어가시면서 장차 예루살렘의 멸망을 말씀하시며 슬퍼 하셨기 때문에 제자들은 성전에서 나올 때 예수님께 이 성전은 어떻게 되는가를 물었다. 예수님은 돌 위에 돌 하나도 남지 않고 다 무너지리라 하셨다. 예수님이 감람산으로 가서 앉으셨을 때에 제자들은 다시 두 가지를 질문하였다. 첫째는 어느 때에 이런 일이 있겠습니까? 이는 예루살렘 성전이 무너지는 때를 물은 것이다. 둘째는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는 무슨 징조가 있습니까? 이는 세상 끝 날의 징조를 물은 것이다. 예수님은 이에 대해 세상 끝의 징조부터 말씀해 주셨다. 1. 미혹하는 자들이 많이 나타나리라 하셨다. (4-5) 4-5절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너희가 사람의 미혹을.. 2018. 6. 23.
예수 보혈의 10대 능력 예수 보혈의 10대 능력 1.하나님과 화목함을 증거하는 능력. (롬5:8) 우리가 아직 죄인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 (요일4:9)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저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니라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위하여 화목제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니라. 2.속죄의 능력 ①.구속함. (벧전1:18) 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조상의 유전한 망령된 행실에서 구속된 것은 은이나 금같이 없어질 것으로 한 것이 아니요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한 것이니라 ②... 2018. 5. 8.
한국 교회사-아펜셀라의 인천상륙과 의료사업- 한국 교회사-아펜셀라의 인천상륙과 의료사업- 아펜셀라(Herry G.Appenxeller)는 드루우 신학교 재학시절에, 1883년 미국 하드포드에서 개최된 신학교연맹(The Hartgard Inter Seminaryconvention)집회에서 해외선교사가 되기를 결심하고 처음에는 일본에가려고희망하였다. 그러나 한국으로 가려고 했던 친우인 워드윌쓰(J.S.Wodaswoth)가 모친의중병으로 국내에 남아있을 사정이 되어 그를 대신하여 한국행을결심하게된 것이다. 미국 북감리교회지 선교회를 통하여 선교사의 임명을 받은 그는 1885년 2월 2일 한국을 향해 떠나기에 앞서 샌프란시코에서 목사 안수를받았다. 아펜셀라 목사와 동행으로 스크랜튼 의사 부부와 모친 스크랜튼여사가 있었다. 이들 감리교의 개척선교사 일행은 .. 2018. 4. 21.
한국교회사-언더우드의 한국선교 소명- 한국교회사-언더우드의 한국선교 소명- 1884년 봄에 의사 헤론(John H.Heron)을 한국 선교사로 임명하여 일본 에서 때를 기다리게 하였고, 9월에는 중국에 파송되어 있던 알렌(Alle- n) 을 한국으로 옮겨 일하게한 미국 장로교 선교본부에서는 그동안의한 국 선교에 대한 신중정책을 전환하여 본격적인 선교사업으로 착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정을 내리게된 가장 큰 이유는 한국에서의 정세가 호전된 점 도 있었겠지만, 직접적으로 언더우드(H.G,Under wood)목사와 같은 인물 이 선교사를 지원 한국행을 희망하여 나섰기 때문이었다. 그가 한국을 찾게된 동기와 사정을 회상한 내용을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에 주재중인 올트맨(Allert Oltmans)이 1883년 겨울에 선교 지원 자들을 모아놓.. 2018. 4. 21.
한국교회사-옵페르트 남연군 묘소 도굴사건- 한국교회사-옵페르트 남연군 묘소 도굴사건- 옵페르트(E.Gacob Oppert)라고 하는 유대계 독일인이 1854년부터 중국 상하이 체재하고 있었다. 그는 동양 여러나라를 여행하는 중, 중국과일 본 사이에 위치한 한국이라고 하는 나라가 쇄국하고 있음에 이상한 흥미를 느껴 어떻게 해서든지 그 문호를 열어보고 싶은 충동이 일어났다. 그리하여 1866년 3월경 대원군의 박해가 한창 진해되고 있을 때 충청 도 가로림만을 다녀간 일이 있었고, 7월 10일에는 강화도 교동도를 찾 아와 무역 거래를 건의하였으나 실패하고 되돌아가 기도 했다. 옵페르트가 두번에 걸쳐 통상에 실패하여 낙심한 중에 있을 무렵,한국 주재 신부였던 페론(Feron)을 만날 기회가 생겼다. 옵페르트는 그와의대 화를 통하여 제3차 한국 탐방여행을.. 2018. 4. 21.
[한국교회사] 한국개신교와서양종교와의 접촉 [한국교회사] 제1부 한국개신교와서양종교와의 접촉 제 1부 한국개신교 전래 이전 서양종교와의 접촉 한국이 서양문화와 언제 접촉하였으며 언제 서방에 알려졌는가는 많은 사람들의 지대한 관심사이다. 특히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세계 역사의 큰 흐름에 한국이 등장한 시기에 대한 고찰은 세계사뿐 아니라 오늘의 한국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알고 바른 역사관을 갖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서방 문화와의 접촉은 서양 종교와의 접촉과 결코 뗄 수 없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에 한국기독교회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16세기 후반 유럽 열국이 종교개혁으로 심각한 종교적 갈등을 겪고 있는 동안 성격은 다르지만 한반도는 전에 없는 도전을 만나고 있었다. 1592년에 발생한 임진왜란,.. 2018. 4. 13.
반응형